돌고래의 슬픔[ 해양쓰레기의 현실]
페이지 정보
작성자 tgep 작성일 24-09-22 08:31 조회 37회 댓글 0건본문
1. 매년 바다로 흘러가는 플라스틱 쓰레기
- 매년 약 80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됩니다. 이는 매분 트럭 한 대 분량의 쓰레기가 바다에 버려지는 것과 같습니다.
- 이 속도가 유지된다면, 2050년에는 바다에 물고기보다 더 많은 플라스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.
2. 해양 쓰레기의 주요 구성
-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의 약 **80%**는 육상에서 발생한 것이며, 주로 플라스틱이 차지하고 있습니다.
-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(예: 병, 빨대, 포장재)이 전체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50% 이상을 차지합니다.
3.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
- 약 100만 마리의 바닷새와 10만 마리의 해양 포유류가 매년 바다 쓰레기로 인해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.
-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양 생물의 몸에 엉키거나 삼켜져,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원인이 됩니다.
4. 거대 쓰레기 지대 (Great Pacific Garbage Patch)
- 태평양 한가운데에 위치한 거대 태평양 쓰레기 지대는 면적이 약 160만 km²로, 이는 프랑스의 3배에 달합니다.
- 이 쓰레기 지대에는 1조 8,000억 조각의 플라스틱이 떠다니고 있으며, 그 무게는 약 8만 톤입니다.
5. 미세플라스틱 문제
- 해양에 버려진 플라스틱은 시간이 지나면서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되며, 이 미세플라스틱은 2.5cm 이하의 크기로 해양 생물에 의해 섭취됩니다.
- 전 세계 바다에서 채취한 물 샘플 중 약 **90%**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습니다. 이는 결국 인간의 식량 체계로 돌아올 가능성도 높습니다.
6. 경제적 손실
- 해양 쓰레기 문제로 인해 세계 경제는 매년 약 130억 달러의 손실을 입고 있습니다. 이는 어업, 관광업, 해안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수치입니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